• 북마크
  • 추가메뉴
어디로 앱에서 쉽고 간편하게!
애플 중고 거래 전문 플랫폼
오늘 하루 보지 않기
KMUG 케이머그

하드웨어

[노트북] 모니터 글자가 약간 뿌옇게 보이는데 왜 이런가요?

본문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맥프로를 구입하고 모니터는 에이조 CG241W 듀얼로 쓰고 있습니다.

근데 오늘 사용하다보니 인터넷 글자나 컴퓨터상의 메뉴들이 약간 뿌옇다는걸 발견했습니다.

그래픽카드는 ATI Radeon HD 2600 입니다.

듀얼을 지원하는 그래픽카드인데 뭐가 문제일까요?

고수님들의 답변 부탁드립니다.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포인트 6,306
가입일 :
2005-02-03 14:05:28
서명 :
미입력
자기소개 :
미입력

최신글이 없습니다.

최신글이 없습니다.

댓글목록 22

베스트맥(A/S,판매)님의 댓글

일단은 모니터 자체에 포커스가 흐려져서 생기는 문제가 제일 많고요.
이것부터 테스트 해보셔야 됩니다.

★준도우미[A/S]님의 댓글

맥오에스 텐에서는 원래 화면서체들이 좀 흐린듯이 보이게 됩니다.
이유는 OS자체에서 부드럽게 보이기위해서 안티앨리어싱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픽 카드문제가 아니고 원래 좀 그렇게 보이는것입니다.

gang님의 댓글

답변 감사드립니다.
근데 이렇게 계속써야된다는 건가요?
이건뭐 몇년된 싸구려 피씨화면보다 못하니 좀 그러네요.
다른 방법이 없는건가요?

향기님의 댓글

향기 59.♡.68.6 2008.07.05 20:47

싸구려 PC 화면보다 못한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안티 알리어싱이라는 기술로서 윤곽선 폰트를 부드럽게 보이도록 하는 기술로서 윈도우 XP 외의 운영체제에서는 모두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입니다. 윈도우 비스타에서도 물론 그렇게 바뀌었고요.

다만, 문제는 기본 폰트인 애플고딕이 약간 "잘못 만든 폰트"라서 흐릿하게 보인다는 것입니다. 윤곽선 폰트라도 제대로 만든 것은 좀 다릅니다. 기회가 된다면 다른 폰트들이 어떻게 보이는지 한번 보시면 이해가 되실 것입니다. 아니면 영문 상위나 일본어 상위로 재부팅해 보시면 확실히 다르다고 아실 것입니다.

윈도우 비스타 같은 경우 새로 만든 폰트인 "맑은 고딕"이라는 폰트가 꽤 잘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맥 OS X보다 좀더 또렷하게 보입니다. "AppleGothic"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만 많은 문제가 있으므로 당장은 현실적이지 못합니다. 애플에서 마이크로소프트처럼 좀더 한글 폰트에 신경써 줄 것을 바라는 수밖에요.

향기님의 댓글

향기 59.♡.68.6 2008.07.05 20:53

참고로 하나 설명드리자면 모니터 화면에 글자를 표시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비트맵 폰트라고 하여 특정 크기의 글자를 모두 점으로 표현하여 만들어 두고 그것으로 보여주는 것입니다. 두번째는 윤곽선 폰트라는 것인데, 이것은 윤곽선 정보를 폰트가 갖고 있다가 필요한 사이즈에 맞춰서 화면에 새로 그려내는 것입니다.

비트맵 폰트의 경우 세 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제 사이즈의 폰트가 없으면 화면에서 올바른 형태로 보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두번째는 크게 확대하면 확실하게 울퉁불퉁해 보인다는 것입니다. 마지막 세번째는 비트맵 폰트로 표시되는 그 모양은 그 폰트 본래의 모양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 세번째 문제는 어쩔 수 없는 것입니다. 왜냐 하면 작은 사이즈로 표시하면서 또렷하게 하려면 원래의 모양을 비틀어 놓을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윤곽선 폰트는 두 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첫번째는 새로 그려내기 위해서는 컴퓨터의 연산 속도가 높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지금의 컴퓨터의 속도에서는 아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두번째 문제는 작은 사이즈로 표시하려고 하면 모니터의 해상도가 낮기 때문에 글자 모양이 울퉁불퉁해지기 쉽다는 것입니다.

이 "작은 사이즈에서 모양이 울퉁불퉁해지는 문제"는 모니터의 픽셀 크기가 너무 크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인데, 바로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안티 알리어싱입니다.

즉, 모니터 해상도로는 제대로 표기할 수 없는 부분을 "픽셀의 색 농도를 떨어뜨려 부드럽게 처리함"으로써 해결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작은 사이즈에서도 폰트의 제 모양 그대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윈도우즈에서도 "클리어타입"이라는 이름으로 이 기술이 적용되는데 많은 분들이 "흐릿해 보인다"라는 이유로 클리어타입을 끄고 사용하곤 합니다.

향기님의 댓글

향기 59.♡.68.6 2008.07.05 20:56

그동안 윈도우즈 XP를 주로 써 오셨다면 "굴림체"라는 폰트를 항상 보고 계셨을 것입니다. 이 "굴림체"는 윤곽선 폰트와 비트맵 폰트를 함께 지니고 있습니다. 즉, 9, 10, 11, 12, 14 포인트 등에서는 비트맵 폰트를 사용하고 그 외의 사이즈에는 윤곽선 폰트를 사용합니다. 비트맵 폰트는 화면 픽셀에 처음부터 일대일로 대응되므로 안티 알리어싱 같은 것은 필요 없고 어쨌든 또렷하게는 보입니다. 다만, 화면에서 항상 보고 있는 기본 사이즈의 굴림체는 굴림체 본래의 모양은 아닙니다. 화면 픽셀에 맞추기 위해서 왜곡해 놓은 모양이지요.

매킨토시에서도 OS9까지는 그런 방식으로 화면에 폰트를 표시했습니다. 즉, 비트맵 폰트와 윤곽선 폰트가 따로 있었던 것입니다. 하지만 OS X이 되면서 비트맵 폰트로의 표시는 폐기되고 윤곽선 폰트로만 사용하게 된 것입니다. 이것은 새로운 운영체제들이 앞다투어 채택하고 있는 선진적인 방법입니다.

향기님의 댓글

향기 59.♡.68.6 2008.07.05 21:03

하지만 앞서 말씀드렸듯이 한국어판에서는 "AppleGothic"이라는 기본 서체 때문에 조금 문제가 생깁니다. 이 AppleGothic이라는 서체는 1992년에 시스템 7과 함께 등장한 서체로서, 기본 모양도 별로 예쁘지 않다고 그때부터 불평이 많았고, 고해상도 출력에 맞는 형태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므로 화면상에서 작은 크기로 표기할 때는 화면의 픽셀과 픽셀 사이에 획이 위치하는 경우가 많아서 심히 보기가 안 좋았습니다.

화면을 먼저 고려한 경우는 모니터 화면의 픽셀과 픽셀 사이에 획이 들어가는 것을 가급적 피하는 형태로 디자인을 하게 되고 불필요한 획이 미묘하게 휘어지는 것도 피하여 설계합니다. 하지만 이 AppleGothic이라는 서체는 정말 미묘한 곡선을 너무 많이 사용하고, 이것이 바로 안티알리어싱을 하면 흐릿하게 보이는 원인이 됩니다. 한마디로 "화면용으로 어울리지 않는 서체"라는 것입니다.

맥용으로 나온 윤고딕, 릭스고딕 등을 사용해 보면 같은 안티알리어싱을 하더라도 화면상에서 훨씬 더 또렷해 보입니다. 이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입니다. 지금이 2008년인데 16년 전에 임시변통으로 급조한 폰트를 지금까지도 쓰고 있는 것입니다. (엄밀히 말하면 중간에 한번 바뀌었으므로 13~14년 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만.)

당시의 윈도우 기본 폰트는 지금과는 전혀 다른 것이었습니다. 그러다가 전문 서체 회사에게 개발을 맡겨서 화면용으로 쓰기에 적합한 폰트(비트맵 포함)를 만들려고 노력을 했고 그 결과가 지금의 "굴림체"입니다. 하지만 그동안 애플 수입사였던 엘렉스컴퓨터와 지금의 애플코리아는 여기에 대해서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았습니다. 애플고딕이면 된다는 안이한 사고방식인 듯합니다. 심지어 10.4 타이거까지는 유니코드 폰트도 아니어서 인터넷 사용시에 치명적인 문제가 있기까지 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한술 더 떠서 윈도우 비스타 출시에 맞춰서 또다시 전문 회사에게 의뢰하여 새로운 폰트인 "맑은 고딕"이라는 것을 내놓고 있기도 합니다. 애플은 그저 구닥다리 폰트인 애플고딕을 유니코드로 만드는 것 정도로 일단 만족하는 듯합니다.

향기님의 댓글

향기 59.♡.68.6 2008.07.05 21:06

참고로 인터넷 홈페이지는 가끔 윈도우즈용 "굴림체"로 표시가 되기도 합니다. 다음커뮤니케이션 같은 경우가 대표적인데 거기서는 굴림체가 비트맵으로 표시되지 않고 윤곽선 폰트로 표시되므로 본래 얼마나 열악한 폰트인가가 드러납니다. 정체가 드러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지요. 새로 나온 맑은 고딕은 정말로 잘 만들어진 폰트입니다만 굴림체는 그다지 ......

향기님의 댓글

향기 59.♡.68.6 2008.07.05 21:07

다만, 한가지 마음에 걸리는 것은 "사용하다 보니"라고 하신 부분입니다.

그렇다면 그동안은 괜찮았다는 얘기인데 그것은 폰트의 이런 문제가 아니라 하드웨어적인 문제 아닌가 싶군요?

성진홍님의 댓글

우왕~ UDG님 저도 귀찮아서 안하는 긴 설명을 답글로 다니다니~~~
넘넘 감사합니다..ㅎㅎ
근데 기왕 쓰신거 자게에 한번 제대로 올려주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요즘 UDG님 덕분에 제가 좀 한가(?)해져서 좋습니다 ㅎㅎ

길든여우님의 댓글

보통 윈도우의 경우 해상도가 안맞으면 저런 글자가 뭉개지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맥의 경우도 그러네 아닐까 조심스래 추측해봅니다

향기님의 댓글

향기 59.♡.68.6 2008.07.06 00:56

그것도 생각해 볼 만합니다.

제 해상도가 아닌 해상도로 설정하면 뿌옇게 보이는 것이 당연하지요.

지금 쓰시는 모니터는 1920*1200 해상도로 맞추고 쓰셔야 합니다. 만약 그 외의 해상도로 설정하신다면 당연히 뿌옇게 보이게 됩니다. 이것은 윈도우에서도 마찬가지이고요.

다반향초님의 댓글

저도 궁금했었는데요.. 읽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많이 되네요.. ^^

향기님의 댓글

향기 59.♡.68.6 2008.07.06 08:33

근데 성진홍님, 여기 "자유게시판"은 너무 깊이 들어가 있어서 찾아가기가 어려워요 ....... T.T

관홍님의 댓글

UDG 님 짱이세요~~
저두 읽어봤습니다 ㅋㅋ

gang님의 댓글

UDG님 정말 감사드립니다.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네요.
앞으로도 많은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최준혁님의 댓글

udg님의 답변은 언제나 쉬원합니다.^^

박은상님의 댓글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vkcjs님의 댓글

그렇군요..감사합니다.

nara님의 댓글

엄청난 댓글이 있네요.... 좋은 공부 되었네요..^^

나요님의 댓글

토니님의 댓글

토니 112.♡.51.122 2021.11.09 10:30

맥에는 QHD 버전의 외장 모니터를 쓰시면 됩니다.
QHD는 1440p 를 지원하기 때문에 폰트등이 깨져 보이는 문제를 해결해 줍니다.
인치는 27이나 32인치 정도를 쓰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HDMI 케이블도 1440p 지원되는 것을 쓰셔야 해요.
모니터 사실때 보시면 싸구려 HDMI 말고 좀 비싼 녀석이 있습니다.
아니면 DP 케이블을 사시던가요.
물론 기존에 나온 맥북이 거의 C 타입을 쓰기 때문에 C to DP(맥에선 C 모니터엔 DP)를 쓰시면 좋구요
만약 구하기 어려우시다면 C포트에 꼽아서  USB나 HDMI, DP를 여러개 제공해주는 장비를 사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전체 64,704 건 - 2 페이지
제목
배진현 7,438 0 0 2011.01.04
관리자 7,412 0 0 2018.03.27
이현우 7,388 0 0 2013.07.21
이호필 7,366 0 0 2010.05.19
김혜원 7,261 0 0 2006.12.24
겨자씨 7,234 0 0 2012.04.20
dendub 7,187 0 0 2008.12.28
CeeJayKim 7,186 0 0 2007.05.10
김병집 7,158 0 0 2009.01.31
심보현 7,154 0 0 2014.02.25
향기 7,136 0 0 2007.12.17
디자이너가만들어가는세상 7,120 0 0 2019.03.17
iioz 7,050 0 0 2010.10.05
Mozart 6,977 0 0 2010.09.18
팔성사이다 6,941 0 0 2010.10.14
이동주 6,914 0 0 2010.05.27
장용석 6,895 0 0 2011.05.13
사탕한입 6,892 0 0 2010.06.27
차광호 6,868 0 0 2003.01.07
박수범 6,839 0 0 2007.07.14
채희태 6,815 0 0 2014.04.05
강유진 6,782 0 0 2013.12.12
맥삶. 6,775 0 0 2008.04.04
황원찬 6,709 0 0 2008.12.08
조용선 6,671 0 0 2005.07.15
세랑 6,613 0 0 2003.07.24
hongwu 6,608 0 0 2004.02.04
김은아 6,596 0 0 2010.05.24
gang 6,584 0 0 2008.07.05
여경한 6,558 0 0 2014.07.28
정현복 6,521 0 0 2012.03.14
김정희 6,479 0 0 2009.03.28
택C 6,476 0 0 2008.08.16
최유리 6,451 0 0 2006.02.27
SydneyBoy 6,439 0 0 2006.11.10
김혜원 6,396 0 0 2017.01.08
신권호 6,390 0 0 2004.01.17
이송희 6,377 0 0 2009.12.30
박동호 6,376 0 0 2009.12.10
nikki 6,362 0 0 2014.01.28
Rev 6,339 0 0 2011.08.04
삼겹살소주한잔 6,336 0 0 2008.01.26
박은미 6,331 0 0 2007.12.17
채희태 6,294 0 0 2013.12.01
에오닐 6,282 0 0 2009.10.30
ikari 6,249 0 0 2008.03.05
momo 6,219 0 0 2010.10.13
이상호 6,167 0 0 2004.08.03
박상덕 6,162 0 0 2009.12.03
레오파드 6,149 0 0 2008.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