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마크
  • 추가메뉴
어디로 앱에서 쉽고 간편하게!
애플 중고 거래 전문 플랫폼
오늘 하루 보지 않기
KMUG 케이머그

하드웨어

[데스크탑] 외장하드 Sea gate FAT32로 포맷하는 법

본문

안녕하세요
macbook os x 10.5.8 유저입니다

얼마전 windows XP 용으로만 사용하던 seagate사의 free agent desktop 1000GB외장하드를
mac 에 연결하여 설치 프로그램을 깔고 잘 사용하였습니다

그런데 다시 PC용으로 사용하려고 보니 외장하드에 저장해 두었던 자료들이 하나도 보이지가 않아요
pc와 mac겸용이라는 문구만 보고 아무 의심없이 사용한것이 화근인지....
pc용 외장하드에 중요한 자료들이 많은데....

pc에서 외장하드로는 접근도 안되고 아예 클릭할만한 아이콘도 보이지 않고 문서들도 보이지 않습니다

mac에서는 mac용으로 저장한 문서들만 보입니다


고수님들이 올려주신 글을 보니 FAT32로 포맷을 해야 한다고 나오는데 어떻게 하는것인지 자세한 설명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포인트 1,287
가입일 :
2005-01-19 08:30:29
서명 :
미입력
자기소개 :
미입력

최신글이 없습니다.

최신글이 없습니다.

댓글목록 10

베스트맥~A/S복구판매님의 댓글

모든 외장하드는 PC와 맥 공용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단지 포맷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용도가 달라지는 겁니다.

특이 PC와 맥겸용 포맷으로 하시면 문제가 아주 많습니다.

참고로 포맷이 NTFS로 되어 있으면 PC에서만 읽고 쓰기가 가능하고요.

맥에서는 읽기만 가능합니다.(맥에서는 외장에 쓰기가 안됩니다.)

반대로 맥용 확장(HFS+) 또는 표준 포맷(HFS)으로 되어 있으면 맥에서만 사용이 됩니다.

PC에서는 인식이 안됩니다.

PC와 맥 같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FAT32로 포맷을 해야 됩니다.

준도우미★A/S복구Rip님의 댓글

Mac전용으로 포맷된 상태라면..윈도우즈에서는 당연히 안보이게 됩니다.
일단..Mac에 외장을 연결후..
데이타를 mac용 내용하드로 백업을 하세요.
그리고..
MacOS X 하드>응용프로그램>유틸리티 폴더에 있는 [디스크 유틸리티]를 실행후..
좌측에서 외장하드 선택..우측에서 포맷형태를 [도스]로 선택하세요.
그리고.[지우기]를 하시면 FAT32포맷을 하게 됩니다.
이제 맥과 윈도우즈에서 병행사용이 가능해진것이죠..

하지만..
FAT32로 포맷을 해서 맥과 PC가 병행사용가능하지만 좀문제가 생길소지가 높습니다.
1) 서로 다른 시스템에서 사용하다보니 어느순간 외장의 볼륨손상이 생길수 있습니다.
2) 단일용량으로 4GB이상 데이타를 담지를 못합니다.
3) 맥데이타를 그냥 넣으면 맥파일구조상 FAT포맷하드에서는 리소스 손상이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스터핏으로 압축해서 넣어야 합니다.
4) 속도가 느립니다.
5) 사용도중 문제발생시 데이타복구 확률이 떨어집니다.

베스트맥~A/S복구판매님의 댓글

FAT32로 포맷을 하면 현재 외장에 모든 내용이 삭제 됩니다.

맥에서는 하드안에 응용프로그램안에 유틸리티안에 디스크유틸리티에서 왼쪽에 외장 용량을 클릭하고 우측에 지우기에서 DOS로 포맷(지우기)을 하시면 됩니다.(DOS포맷이 FAT32 포맷입니다.)

PC에서는 내컴퓨터를 우클릭해서 관리안에 디스크관리에서 하시거나 별도에 포맷프로그램(파티션매직등)을 이용해서 하셔도 됩니다.

단.FAT32로 포맷을 하시면 몇가지 문제가 있습니다.

1.외장에 복사 속도가 좀 느립니다.

2.4GB 이상은 한번에 복사가 안됩니다.(4GB까지는 가능합니다.)

3.데이타 용량이 늘어나서 외장에 저장 됩니다.(포맷방식이 조밀하지 않습니다.)

4.포맷이 잘깨지는 편입니다.

하늬뫼님의 댓글

구입 시 "pc와 mac겸용이라는 문구" 가 있었다면 이미  FAT32로 포맷이 된 상태로 보입니다.
FAT32로 포맷이 되지 않았다 면 맥과 윈도우 PC간 공유가 될 수 없지요,
문제는 "FAT32" 포맷은 늘 불안하고 오류가 많이나는 불안전한 포맷입니다.
그러나 어쩔 수 없는 선택이지요,
지금 윈도우 pc에서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는 다면 하드를 복구업체에서 복구를 한 후 포맷을 해야 저장되었던 자료를 살릴 수 있습니다.
만약
복구를 하지 않고 포맷을 하면 저장 되었던 자료는 완전히 없어집니다.
없어도 되는 자료라면
인터넷에 "FAT32" 라고 치면 포맷을하는 프로그램을 구할 수 있습니다.
저는 외장하드를 " FAT32 " 로 포맷하지 않고 윈도우pc의 포맷(파일시스템)인 "NTFS"로 포맷한 후 맥에는 "파라곤(PARAGON=파라곤을 설치하면 맥에서 윈도우pc의 파일시스템을 읽고 쓰기가 가능)"이라는 프로그램을 설치 후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 만 포맷을 하면 저장되어 있던 자료는 영원히 복구가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참고 하시길,,,,

그러니님의 댓글

빠른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한가지 더 궁금한것은
맥용으로 사용했을때 저장해 두었던 문서들은 따로 백업하고 다 삭제 했습니다
그런데 정말 중요한 문서는 pc용 안에 있는데요
맥에서 FAT32로 포맷을 할 경우 PC안에 있는 문서들도 다 삭제가 되나요?

적어주신 문장으로 봐서 그런거 같은데.....ㅠㅜ

"FAT32로 포맷을 하면 현재 외장에 모든 내용이 삭제 됩니다."

답변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베스트맥~A/S복구판매님의 댓글

외장하드 안에 있는 모든 내용이 삭제 됩니다.

준도우미★A/S복구Rip님의 댓글

포맷을 한다는것은 완전 초기화를하는것입니다.
당연히 맥파일이든..PC용 파일이든 남깅없이 삭제가 됩니다.

그러니님의 댓글

그럼 문서 복구를 위해선....
결국 업체에 문의 해야 하는것인가요???
그러면 완젼히 문서 복구가 될까요?

맥사이트(복구,A/S점)님의 댓글

포맷(초기화)은 모든내용을 삭제한다는 뜻입니다.

베스트맥~A/S복구판매님의 댓글

fat32로 포맷된 경우에는 PC에서 복구를 해야 됩니다.

중요한 문서라면 복구A/S를 받으셔야 될듯 합니다.

전체 64,705 건 - 14 페이지
제목
김병철 3,240 0 0 2006.08.15
카레레이스 3,239 0 0 2016.08.02
장요셉 3,231 0 0 2009.03.20
남기일 3,231 0 0 2010.07.03
새우깡 3,227 0 0 2006.06.21
홍똘 3,225 0 0 2009.09.26
mac사랑 3,224 0 0 2014.05.28
황일구 3,220 0 0 2010.01.17
최연경 3,215 0 0 2005.10.28
향기 3,215 0 0 2008.09.06
김영성 3,215 0 0 2012.10.03
banya 3,214 0 0 2009.11.10
서가람 3,212 0 0 2004.01.26
삐룩이 3,212 0 0 2010.04.28
칙까 3,203 0 0 2009.12.08
스치듯안녕♬ 3,201 0 0 2013.04.08
김태관 3,201 0 0 2008.07.08
이태원 3,199 0 0 2007.08.13
헤븐리 3,197 0 0 2014.01.06
nara 3,197 0 0 2008.05.05
김성우 3,194 0 0 2011.01.24
레벨 임진아 3,194 0 0 2019.10.21
이용희 3,191 0 0 2009.05.13
박정홍 3,189 0 0 2008.03.17
관리자 3,187 0 0 2018.02.06
장석우 3,186 0 0 2006.01.06
정호상 3,185 0 0 2002.11.16
이웅규 3,179 0 0 2007.02.20
한천호 3,179 0 0 2008.11.04
driemon 3,179 0 0 2010.01.22
향기 3,177 0 0 2010.11.19
Basso 3,175 0 0 2010.11.27
이명제 3,175 0 0 2009.03.26
그러니 3,175 0 0 2009.10.01
above_the_something 3,174 0 0 2008.11.28
graywing 3,173 0 0 2014.08.25
이솔 3,172 0 0 2008.12.10
정호상 3,171 0 0 2002.11.16
taz000 3,170 0 0 2007.03.24
엄마의아들 3,167 0 0 2006.07.29
유성종 3,167 0 0 2014.03.26
사쿠란보 3,166 0 0 2012.02.14
허밍 3,164 0 0 2013.01.14
차현석 3,163 0 0 2010.03.22
신준호 3,162 0 0 2007.08.30
향기 3,161 0 0 2011.06.14
debby 3,161 0 0 2007.11.15
조병기 3,159 0 0 2010.05.27
김영준 3,159 0 0 2011.01.15
김현희 3,155 0 0 2010.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