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마크
  • 추가메뉴
어디로 앱에서 쉽고 간편하게!
애플 중고 거래 전문 플랫폼
오늘 하루 보지 않기
KMUG 케이머그

하드웨어

[데스크탑] 에프터 이펙트를 주로사용하는 최고사양 맥북2대 구축하려고 합니다. 도와주세요

본문

지금받아든 견적은 하퍼타입 2.8G 8코어에 16G램 3T라 하드디스크 그래픽카드는 8800GT이구요 2대를 구입하려고 합니다.

처음에는 네할렘2.2G 8코어 시스템으로 그래픽카드 HD4080인가요 그거랑 16G램 으로 구성하려고 했으나

가격대비 글고 사용목적 고려할때 여러가지로 네할렘2.2G 8코어 보다는 이전 버전인 하퍼타운 2.8G 8코어로 가라고

추천해주시더라구요

저는 둘중 한대는 주로 에펙작업을 위주로 한 좀 잘돌아가게 풀업을 하려고 하는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파이널 컷은 프로그램안에서 12G램을 파이널 컷 프로그램만을 위해 사용하도록 설정할수 있다는데

혹시 맥용 에프터 이펙트도 램의 성능을 최대로 활용할수가 있게 되어 있나요???

일반 윈도우에서 32비트시 전체 메로리 인식이 3기가가 조금넘으니깐 윈도우에서 에펙프로그램을 사용하는것보다

맥에서는 훨신 우수한 환경에서 작업할수 있게 되는거 맞나요? 맥에서는 16G를 다 인식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맥용 8800GT 비디오카드의 처리속도가 윈도우용 비디오카드보다 월등하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뭐 탱크쿨러같은게 달려있고 다르긴 다르다고 하는데 어떤지를 잘 몰라서 이것도 답변을 좀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주로 HDV영상편집을 한다면 시스템을 어떻게 구축해야할지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포인트 96
가입일 :
2009-06-20 12:40:52
서명 :
미입력
자기소개 :
미입력

최신글이 없습니다.

최신글이 없습니다.

댓글목록 7

야삽님의 댓글

말씀하시는건 맥북이 아니라 맥프로 이야기 같은데요??

그리고 맥용 에펙을 사용할 예정이라 하셨는데...맥용 에펙 플러그인은

따로 다 구해놓으셨는지...윈도우에서 쓰던 에펙 플러그인은 맥용에서는

못씁니다. 그리고 폰트같은거도 맥용으로 다시 다 구하셔야 하구요....

실질적으로 윈도우에서 하는 환경을 100% 이전하기란 어려우실겁니다.

70%만 넘어도 성공이지요...

김도한님의 댓글

헐.... 어떻게 구할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혹시 P2P 사이트중에 맥용 프로그램을 많은 곳은 없나요?

alice님의 댓글

맥용폰트는 구입하시면 되고
플러그인은 어도비에 문의하시면 조금이나마 도움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요?

김도한님의 댓글

혹 에펙을 많이 쓰시는분들 그리고 비디오 코파일롯참고 하는 유저님들께
도움구합니다. 맥용으로 플러그인을 구입한다면 꼭 필요한 플러그인 리스트를
좀 알수 있을가요? 물론 트랩코드사의 8가지 플러그인 빼구요... 부탁드립니다. (__) 그리고 맥용 폰트는 얼마고 잘 사용하시는 폰트 추천 부탁 드립니다.

성진홍님의 댓글

애프터 이펙트 CS4는 32비트 밖에 지원을 하지 않아 메모리를 전부 활용하지 못합니다.
애펙은 CS5부터 맥에 최적화할 거라고 어도비에서 공언했으니까요.

파컷은 애플이 만든 것이라 맥오에스에 최적화되어 있어 시스템의 모든 메모리를 전량 사용이 가능한 것이지요.
괜히 KBS가 맥프로 풀사양으로 자기네 제작국 쫙 깔은 것이 아니지요.
KBS에 아는 분들이 계시다면 그분들에게 사양을 문의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KBS의 애플 시스템 세팅이 이른바 애플 레퍼런스 세팅이니 말입니다.

그래픽 카드의 문제는 효율성의 문제가 아니라 전통적인 애플 소프트웨어들의 성향이 애플은 CPU의존도가 그래픽카드 의존도에 비해 월등히 높은 반면, 애펙은 상대적으로 그래픽카드 의존도가 높아서 맥에서 8800이 월등하다는 말씀을 들으신 것 같습니다.

영상 작업의 경우 맥월드 테스트결과 사실 네할렘 좀 많이 월등한 우위에 있음이 증명은 되었습니다만, 가격이 좀 많이 비싸서 부담스러운 것도 사실입니다.

다나와에  풀린 네할렘 제온으로 견적을 계산해봐도 거의 비슷하거나 더 비싸니까요. 물론...델이나 HP에 비하면 여전히 싼것은 맞습니다만......

금전적으로 크게 부담이 없으시거나, 1년이내에 투입자금의 회수가 가능하실듯 하다면 신형을, 이런것이 불가능하시다면 구형 중고를 구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단 구형의 경우 전문적인 영상작업과 같은 하드코어한 작업을 위해서는 애플 메모리와 동일한 형태의 방열판이 달린 고가형 메모리를 사용하시는 것이 과열로 인한 다운, 시스템 퍼포먼스 저하 등 다양한 문제를 예방하는 데에 좋기 때문에 메모리를 10기가 이상 업그레이드 하실 경우 신형 맥프로보다 비용적 부담이 크기 때문에 반드시 비교 챠트를 이 부분까지 고려하여 작성하셔서 직접적인 비교를 하시고 감가상각을 계산하여 구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시작하기님의 댓글

애플에서 판매하는 8800GT라면 레퍼런스 카드입니다. nvidia나 ATI에서 새로운 카드를 발표하면 레퍼런스라고 불립니다. 이 걸 비디오 카드 제조사에서 클럭을 높이고 비디오램을 늘리고 사제쿨러를 달아서 변종을 만듭니다. 따라서 변종 윈도우용 비디오카드보다 레퍼런스가 성능이 떨어집니다.

제가 맥프로에 8800GT를 사용하고 있는데 탱크쿨러같은 것도 없습니다.

간혹 윈도우용 8800GT를 구해서 롬플래싱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경우도 레퍼런스 카드만 가능합니다.

시작하기님의 댓글

8800GT 사진을 링크겁니다.
<a href=http://store.apple.com/kr/product/MB137FE/A?fnode=MTY1NDA5OQ&mco=MjE0NTg5Mw target=_blank>http://store.apple.com/kr/product/MB137FE/A?fnode=MTY1NDA5OQ&mco=MjE0NTg5Mw</a>

전체 64,704 건 - 10 페이지
제목
최종수 3,644 0 0 2008.04.18
나권 3,639 0 0 2007.04.12
안천식 3,637 0 0 2010.08.11
알지 3,631 0 0 2010.05.03
박상현 3,629 0 0 2010.02.10
박진성 3,628 0 0 2011.11.15
박성환 3,626 0 0 2021.01.26
b6e 3,623 0 0 2011.01.25
피아노맨2 3,615 0 0 2010.02.04
김정현 3,614 0 0 2010.09.23
이상율 3,613 0 0 2011.06.03
홍종찬 3,613 0 0 2011.02.22
이슬 3,612 0 0 2010.01.30
향기 3,611 0 0 2011.01.24
OUMAC 3,609 0 0 2021.03.10
김도한 3,606 0 0 2009.06.20
PHENOMENON 3,605 0 0 2009.11.18
vaporize 3,605 0 0 2008.06.09
오세웅 3,601 0 0 2010.07.10
고선진 3,598 0 0 2007.04.01
이은영 3,598 0 0 2009.07.05
龍家里 3,597 0 0 2008.10.31
최형관 3,596 0 0 2010.12.09
신재호 3,590 0 0 2009.12.02
이지향 3,584 0 0 2010.03.18
윤명숙 3,583 0 0 2004.04.28
박주영 3,582 0 0 2010.10.29
김혜영 3,579 0 0 2009.12.09
gigi 3,579 0 0 2009.12.13
김영권 3,577 0 0 2016.12.23
김정화 3,576 0 0 2006.08.02
임태현 3,572 0 0 2008.11.13
김성규 3,570 0 0 2008.08.31
김재열 3,570 0 0 2010.06.26
지효리 3,567 0 0 2008.01.14
라정호 3,565 0 0 2008.03.18
jEdo 3,562 0 0 2008.03.08
Pridin 3,559 0 0 2010.01.27
김성년 3,559 0 0 2010.03.02
Snaggy 3,557 0 0 2011.11.01
MK 3,557 0 0 2009.01.14
김윤호 3,555 0 0 2010.12.11
김민 3,555 0 0 2013.07.11
SE30 3,553 0 0 2008.12.28
콩콩 3,551 0 0 2009.08.17
문지훈 3,540 0 0 2009.01.14
韓國民 3,539 0 0 2006.09.26
김수정 3,538 0 0 2009.11.05
nugooly 3,538 0 0 2005.01.11
김상곤 3,538 0 0 2010.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