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마크
  • 추가메뉴
어디로 앱에서 쉽고 간편하게!
애플 중고 거래 전문 플랫폼
오늘 하루 보지 않기
KMUG 케이머그

하드웨어

[데스크탑] 영상편집관련 질문입니다. 16mm/8mm 필름스캔.

본문

혹시 8mm, 16mm 영상 필름 스캐너에 대해서 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꽤 많은 양에 영상필름을 스캔 해야 하는데 우리나라 영상사업부?! 그런 쪽에 알아보니

피트당 가격을 받아, 소장하고 있는 필름 전부를 스캔을 한다면 차라리 스캐너를 구입하는 것이 나을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인터넷을 검색을 해보니 두 개 정도나 눈에 띄는데 한가지는 아마 영상사업부 같은 대형기관에서

사용하는 것 같고요. 가격만 3000만원 대...;;;; 이건 무리고요.

다른 하나는 아마추어 용인데 8mm, 16mm 따로따로 있어서 둘 다 스캔 해야 하는 저로서는 적합하지

않다는 판단이 듭니다. 홈페이지를 봐서는 차후 AS가 되는 회사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필름 스캔에 대해 아시는 분 계시면 조언 부탁 드립니다. (^.^) (_ _)


0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포인트 1,776
가입일 :
2019-10-14 16:29:19
서명 :
미입력
자기소개 :
미입력

최신글이 없습니다.

최신글이 없습니다.

댓글목록 7

황금눈깔님의 댓글

필름 스켄을 할때는 그 스케너의 품질과 속도를 따져야 합니다. 신텔제품은 믿을만하지만, 품질면에서 약간의 색변조가 있습니다. 그래서 컬러그레이딩을 해야 하는데, 만만히 않는 작업입니다.
보통 필름 스케너는 2~5억사이가 정상적인 가격이고(35밀리기준), 스케니티 등은 약 10억정도 수준입니다.
위의 제품중 신텔제품은 대학생, cf등을 위한 저렴한 제품군이며, 아래 제품은 스케너라고 하기에는 어려운 수준이라 보시면 됩니다.
단 위의 제품이 다빈치 리졸브와 연동이 된다고 하는 측면 에서 본다면 쓸만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8밀리 16밀리 전용 스케너는 없고, 35밀리를 구입하면, 하위 호환성을 가지게 됩니다.

보통 스켄시간등을 따진다면, 고가의 제품을 구입하시는 것이 정석이며, 평범하게 하신다면, 신텔제품도 좋은 선택일 것입니다.

필름 스케너는 영상 시스템중 가장 고가의 제품이라는 것을 생각하시고 접근하시면 됩니다.

danvers님의 댓글

황금눈깔님 자세한 답변 대단히 감사합니다.
영상편집에는 문외한이다 보니 신텔제품이 최고가 제품인 줄 알았습니다.
알면 알수록 총알에 대한 압박으로 좌절입니다. ㅠㅠ
영상편집부에서 제시한 견적이 비싼게 아니었나 봅니다.

danvers님의 댓글

말씀해주신 다빈치 리졸브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 

지금까지 무조건 독학으로 밀어 부쳐 왔는데 영상분야는 아니라는 것이 피부로 와 닿는군요.

영상분야는 전문가에게 의뢰하는 걸로 결정했습니다. ㅎㅎ

문제는 영상이 유출이 되면 절대 안되기 때문에 보안문제가 가장 신경이 쓰입니다.

영화편집관련 업체에 의뢰를 하면 아무래도 불법복제의 위험성 때문에 배제하고 있긴 한데....

어떻게 해야 할지 정말 답답합니다.

황금눈깔님의 댓글

danvers님께: 아마 국내에서 영화관련 필름 스케너가 있는 업체가 몇군데 없다는 것을 생각하셔야 합니다. 요즘 시네메이트나 세방, CJ파워케스트도 필름 스케너는 없습니다. 다만 영상자료원이나 CF포스트 업체중, 서울비전스, 머큐리, CIC등은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영상 편집업체에 의뢰하는 가격이나 시스템을 구축하는 가격이 비슷할 것으로 보입니다.  예산이 어느정도인지 궁금합니다. 어쩌면 그냥 구입하셔서 돌리는 것이 편할 것이라 생각이 듭니다.

제가 영화제작을 하고 있어서 관심있게 보고 있는 분야입니다. 또한 영화분야에서 가장 비싼 영역입니다.

danvers님의 댓글

황금눈깔님의 답변이 제게 뼈가 되고 살이 됐습니다.
제가 영상분야를 너무 쉽게 봤습니다. 반성하며, 당분간 고민의 연속일 것 같습니다.
다른 방향으로 고민해 봐야겠습니다.
^.^;

황금눈깔님의 댓글

danvers님께: 네, 지금 말씀하신 부분은 영화분야에서 가장 돈이 많이 들어갑니다. 아마 어떤 의뢰를 받아서 하신지 모르지만, 정말 힘든 부분이고, 개인적으로 비추합니다.

PhotoLKH님의 댓글

어디서 봤는데 국내에서 영화필름으로 작업하는 곳이 마지막으로 한곳이 있었는데 장사가 안되서 접으셨다고...

전체 3,450 건 - 1 페이지
제목
OUMAC 3,605 0 0 2021.03.10
레벨 도석짱짱 2,346 0 0 2019.04.16
나다 1,995 0 0 2018.06.11
향기 2,008 0 0 2002.12.05
박기현 1,902 0 0 2002.11.28
kimhwoo1210 566 0 0 2017.10.20
서경교 608 0 0 2017.06.30
MACstar 1,182 0 0 2017.02.07
이상훈 795 0 0 2016.12.01
조정민 1,433 0 0 2016.10.03
이승찬 1,377 0 0 2016.08.01
designh 1,418 0 0 2016.05.03
elf-oo- 1,873 0 0 2016.03.13
nntopkr 808 0 0 2016.01.22
엽기토끼이요 704 0 0 2015.12.12
꼽살 646 0 0 2015.11.15
양우진 900 0 0 2015.10.03
임은주 901 0 0 2015.09.07
술탄 1,201 0 0 2015.07.22
온제나 968 0 0 2015.06.16
자유바람 1,349 0 0 2015.05.13
홍덕원 1,167 0 0 2015.04.21
서미영 1,151 0 0 2015.03.27
PhotoLKH 1,006 0 0 2015.02.26
정덕진 1,869 0 0 2015.02.02
chbd00 2,079 0 0 2015.01.07
쏠쏠 802 0 0 2014.12.15
선일 1,745 0 0 2014.11.23
손희선 1,562 0 0 2014.11.04
Lgic 1,078 0 0 2014.10.19
머나먼... 951 0 0 2014.10.02
무심 628 0 0 2014.09.16
그날이오면 1,018 0 0 2014.08.13
손승표 1,723 0 0 2014.07.12
PhotoLKH 1,498 0 0 2014.06.15
노주영 1,311 0 0 2014.06.04
BABO 1,014 0 0 2014.05.21
로뎀나무 1,218 0 0 2014.05.07
해피라이브 1,036 0 0 2014.04.28
대한국인 1,038 0 0 2014.04.17
fiddler 1,296 0 0 2014.04.08
Gioia 924 0 0 2014.03.24
이상원 4,508 0 0 2014.03.06
design 1,272 0 0 2014.02.19
xL 1,075 0 0 2014.01.29
lucas 898 0 0 2014.01.11
john 802 0 0 2013.12.29
breeze 960 0 0 2013.12.17
john 2,127 0 0 2013.12.02
sun 1,002 0 0 2013.11.16